•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동상방지층 두께산정

숙지황 숙지황
36 0 0

1. 개정 배경

현 도로포장설계에 사용하는 동결지수는 1980년 당시 건설부 도로조사단에서 30년간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전국동결지수선도를 발표하여 도로포장 설계․시공지침에 반영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동결지수선도는 작성된 지 20년이 지나, 이에 최근 30년간 기후조건을 토대로 전국동결지수선도를 재작성하여 도로포장 설계․시공지침에 반영하였다. 최근의 변화된 기후조건을 감안할 때 10년 정도의 주기로 동결지수선도를 검토하여 개정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2. 개정 내용

동결지수는 포장내의 동결관입깊이를 산정하기 위한 대표적 척도로서, 포장구조와 노상토를 동결시키는 대기온도의 강도와 지속기간의 누가영향으로 표시된다. 동결지수의 단위는 ℃․일이며, 그림 1과 같이 어느 동결 계절동안의 누가 온도․일에 대한 시간곡선상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로 나타난다. 동결지수의 산정은 대상지역의 인근측후소에서 관측한 일평균대기온도의 크기와 지속기간에 대한 30년 기록을 토대로 한다.

도로포장의 동결심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값을 설계동결지수라고 하는데 설계동결지수의 산정은 대상 지역의 인근 측후소에서 관측한 30년간의 기상자료에서 추위가 가장 심하였던 3년간(즉, 동결지수의 최대 3년치)의 평균동결지수로 정한다. 만일 30년간의 기상자료가 없으면 최근 10년간의 최대동결지수를 설계동결지수로 산정할 수 있다.

동결지수는 측후소 위치에서 관측한 값을 토대로 한 것이므로, 설계노선의 표고에 대한 보정은 식(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림 1. 동결지수 결정방법

 

식(1)

 

이와 같이 산출된 수정동결지수를 동결심도 산정모델에 적용하여 해당지역의 설계 동결깊이를 결정하게 된다.

동결지수는 1970년부터 2001년까지 30여년간 전국 66개소의 기상측후소에서 관측된 기상자료를 토대로 결정하였으며, 그림 1과 같이 동결지수와 동결기간을 분석하여 전국동결지수선도를 제시하였다. 지역별 동결지수 산정결과는 표 1과 같으며, 1980년 당시 전국도로조사단에서 발표한 전국동결지수와의 비교한 결과 평균적으로 1.7℃․일이 증가되었고, 동결기간은 2일이 증가되었다.

동결지수 분석결과, 그림 2와 같이 1990년대부터 동결지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이는 10년정도 기간내에 1990년대부터 기후가 상승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30년 기후조건을 대상으로 동결지수를 산출할 때는 동결지수가 개정전보다 오히려 약간 크게 나타났으며, 동결지수가 증가하는 지역은 32개 지역이고, 감소하는 지역은 24개 지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결지수가 50℃․일 이상 증가하는 지역은 11개 지역(대관령, 춘천, 충주, 순천, 임실, 제천, 홍천, 인제, 이천, 양평, 강화)으로 나타났다.

개정된 전국의 지역별 동결지수선도는 그림 3과 같다.

 

 

그림 2. 동결지수 분석 예

표 1. 지역별 동결지수 및 동결기간

 

   
   
   

측후소

지반고(m)

동결지수

(℃․일)

동결기간

(일)

지 역

측후소

지반고(m)

동결지수

(℃․일)

동결기간

(일)

속초

17.6

181.6

66

합천

32.1

193.0

62

대관령

842.0

873.8

127

거창

224.9

278.2

74

춘천

74.0

539.0

92

영천

91.3

237.8

64

강릉

26.0

167.2

57

구미

45.5

278.1

76

서울

85.5

380.9

80

의성

73.0

425.2

78

인천

68.9

354.7

78

영덕

40.5

138.8

57

원주

149.8

613.0

94

문경

172.1

279.4

55

울릉도

221.1

129.3

32

영주

208.0

417.8

77

수원

36.9

468.4

79

성산포

17.5

-

-

충주

69.4

528.4

89

고흥

60.0

83.5

49

서산

26.4

313.2

76

해남

22.1

102.6

49

울진

49.5

121.6

57

장흥

43.0

130.1

52

청주

59.0

411.6

78

순천

74.0

179.9

64

대전

67.2

317.7

68

남원

89.6

272.4

67

추풍령

245.9

303.9

78

정읍

40.5

223.9

61

포항

2.5

98.5

52

임실

244.0

420.3

86

군산

26.3

194.9

61

부안

7.0

244.7

61

대구

57.8

160.9

54

금산

170.7

372.5

77

전주

51.2

233.5

61

부여

16.0

330.0

74

울산

31.5

83.6

46

보령

15.1

254.8

76

광주

73.9

141.4

55

천안

24.5

405.4

78

부산

69.2

49.6

27

보은

170.0

461.7

76

통영

25.0

37.4

27

제천

264.4

610.2

91

목포

36.5

75.6

33

홍천

141.0

635.4

98

여수

67.0

62.2

31

인제

199.7

614.5

91

완도

37.5

38.1

26

이천

68.5

511.0

89

제주

22.0

4.1

3

양평

49.0

619.7

91

남해

49.8

148.9

38

강화

46.4

486.2

89

거제

41.5

52.1

39

진주

21.5

132.8

51

산청

141.8

141.8

49

서귀포

51.9

-

-

밀양

12.5

180.2

62

철원

154.9

685.0

109

 

단위는 ℃․일

 

 

 

그림 3. 전국동결지수선도

 

설계동결지수를 구하기 위하여 표 2에서 표고 100m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좌표의 동결지수를 제시하였으므로, 이 표에서 해당 지역의 동결지수를 간편하게 구할 수 있다.

 

 

 

표 2. 좌표별 전국동결지수

 

(단위 : ℃․일)

 

 

   
   
   

(radian)

 

동경(radian)

34

35

36

0.40

0.63

0.83

0.02

0.22

0.41

0.61

0.80

0.03

0.23

126

0.4

77

99

94

120

151

184

213

228

240

264

0.6

67

120

121

132

158

196

236

245

235

277

0.8

61

123

138

141

160

208

247

256

256

316

127

0.0

75

126

144

157

184

232

261

257

286

343

0.2

73

103

131

173

216

270

316

271

301

332

0.4

65

75

105

165

215

273

324

315

326

335

0.6

68

90

122

154

182

216

265

294

323

348

0.8

73

115

151

152

153

153

220

264

289

318

128

0.0

68

106

133

142

150

159

210

244

257

250

0.2

51

75

94

120

150

179

215

234

265

282

0.4

33

46

52

97

141

178

200

214

271

322

0.6

19

33

54

89

135

181

195

182

260

359

0.8

-

25

45

75

121

179

195

198

264

347

129

0.0

-

13

28

46

84

130

160

188

236

286

0.2

-

-

19

37

63

102

131

157

191

217

0.4

-

-

-

25

46

69

93

111

125

150

 

주) 표고 100m 기준

 

 

 

표 2. 좌표별 전국동결지수(계속)

 

(단위 : ℃․일)

 

 

북위(radian)

 

동경(radian)

36

37

38

0.42

0.62

0.81

0.01

0.20

0.43

0.63

0.82

0.02

0.21

126

0.4

294

320

342

366

384

414

478

515

527

538

0.6

315

344

367

386

391

376

435

495

527

547

0.8

353

379

405

423

429

397

412

479

532

561

127

0.0

374

404

440

462

486

441

421

498

557

587

0.2

364

410

452

482

504

509

515

551

599

624

0.4

352

419

466

497

518

580

591

593

620

636

0.6

397

444

483

521

551

620

622

590

588

594

0.8

383

426

480

544

576

611

617

580

567

563

128

0.0

298

333

424

517

566

593

600

588

575

535

0.2

285

280

377

472

535

556

560

553

548

475

0.4

337

339

372

428

476

504

504

477

423

350

0.6

401

373

367

388

416

441

447

392

309

219

0.8

385

359

342

342

350

357

357

275

220

179

129

0.0

308

302

290

281

276

243

214

154

144

137

0.2

233

233

224

214

206

186

156

129

118

115

0.4

162

163

155

143

143

132

116

102

94

94

 

주) 표고 100m 기준

 

 

 

3. 동상방지층두께 산출 계산 예

 

사례]

『안동에 설계노선의 최대표고가 150m인 도로를 건설하고자 한다. 동상방지층 두께를 구하시오.』

- 조건 : 포장단면(표층 5cm, 기층 20cm, 보조기층 30cm),

노상토의 함수비 w=15%, 보조기층의 함수비 w=7%,

보조기층 재료의 건조단위중량

 

3.1 도표를 이용한 계산법

 

(1) 동결지수

 

안동의 좌표는 북위 36。 33′, 동경 128。 43′이므로 이를 radian값으로 환산하면 북위 36.55, 동경 128.72가 된다. 표 2에서 해당좌표에 대한 동결지수를 보간법으로 구할 수 있으나 동결심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가장 가까운 좌표인 북위 36.62, 동경 128.8에서의 동결지수를 구하면 동결지수는 359℃․일이 구하여진다. 표고를 보정하기 위한 수정동결지수는 앞의 식 (1)로부터 구할 수 있다.

 

식(1)에서 동결기간은 가까운 측후소 3개소의 평균값 또는 가장 가까운 측후소의 동결기간을 사용하며, 이는 동결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으므로 가장 가까운 측후소의 동결기간을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가장 가까운 측후소인 영주의 동결기간이 표 1에서 77일이므로 수정동결지수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2) 동상방지층두께

 

상기에서 구한 동결지수가 378℃․일로 나왔으므로 미공병단에서 제시된 도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화씨의 동결지수로 변환해야 한다. 동결지수는 일평균기온과 임의의 기준온도와의 차이를 1일의 기간으로 곱한 값이며, 화씨로 표시된 동결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섭씨로 구한 동결지수에 1.8을 곱하면 된다. 그러므로 화씨로 표시된 동결지수로 변환하면 680℉․일을 구할 수 있다. 보조기층의 함수비는 7%, 건조단위중량이 2.16g/cm3이므로 그림 4에서 완전방지법에 의한 동결심도는 115cm로 산출된다. 노상동결관입허용법에 의한 동결심도는 그림 5의 도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c : 비동결성 재료 치환 최대깊이(cm)

 

a : 설계 동결관입깊이(cm)

 

p : 콘크리트포장의 슬래브두께 또는 아스팔트포장의 아스팔트 혼합물층 두께(cm)

 

 

 

 

 

 

r=2.1이므로 중차량 교통량이 많은 곳에서 r값은 2.0보다 큰 경우 2.0을 적용한다. 여기서, 중차량 통과지역은 대형차(화물차, 버스, 특수자동차)교통량이 1일 1방향 1,000대이상인 지역을 말한다. 그림 5의 도표에서 c=90cm의 연직선과 r=2.0선의 만나는 점의 좌측값인 비동결성 재료층의 두께 b=60cm를 얻을 수 있다. 동상방지층의 두께는 비동결성재료층의 두께 60cm에서 보조기층의 두께 30cm를 뺀 30cm이다. 따라서, 노상동결관입허용법에 의한 동결심도는 85cm (p+b=25+60)이다.

 

 

 

(a) 설계동결지수 800℉․일 이하의 경우

 

그림 4. 동결관입깊이와 설계동결지수 상관 도표(1)

 

 

 

 

 

 

 

 

 

(b) 설계동결지수 800℉․일 이상의 경우

 

그림 4. 동결관입깊이와 설계동결지수 상관 도표(2)

 

 

 

 

 

 

 

 

 

 

 

 

 

 

 

 

 

(c) 설계동결지수 800℉․일 이상의 경우

 

그림 4. 동결관입깊이와 설계동결지수 상관 도표(3)

 

 

 

 

 

 

 

 

 

 

 

 

 

(d) 설계동결지수 800℉․일 이상의 경우

 

그림 4. 동결관입깊이와 설계동결지수 상관 도표(4)

 

 

 

 

 

 

 

 

 

그림 5. 노상동결관입허용법에 의한 설계비동결성 재료층 두께 결정 도표

 

 

 

3.2 간편계산법

 

미공병단에서 제시된 비동결성 재료층두께 결정도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섭씨의 동결지수를 화씨의 동결지수로 변환해야 한다. 표 3에서는 동결지수를 화씨로의 단위변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보조기층의 함수비와 건조단위중량이 7%, 2.16g/cm3일 때의 완전방지법에 의한 동결심도를 구하였다.

 

 

 

표 3. 완전방지법에 의한 동결심도

 

 

동결지수

(℃․일)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동결심도

(cm)

76

88

100

109

118

126

133

139

144

동결지수

(℃․일)

650

700

750

800

850

900

950

1000

1050

동결심도

(cm)

148

152

156

160

164

168

172

175

180

 

(보조기층 함수비 7%, 건조단위중량 2.16g/cm3)

 

 

 

노상동결관입허용법에 의한 동결심도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4. 노상동결관입허용법에 의한 동결심도

 

 

r(ws/wb)

동결심도, z(cm)

1.6

0.71a+0.29p

1.8

0.69a+0.31p

2.0

0.66a+0.34p

2.5

0.61a+0.39p

3.0

0.58a+0.42p

 

주) a : 완전방지법에 의한 동결심도(cm)

 

p : 콘크리트포장의 슬래브두께 또는 아스팔트포장의 아스팔트 혼합물층 두께(cm)

 

ws, wb : 노상, 보조기층의 함수비

 

r(ws/wb) : 중차량 통행지역은 2.0이하, 저교통량 통행지역은 3.0이하

 

 

 

앞의 문제를 간편 계산법으로 계산하면 378℃․일에 해당하는 완전방지법에 의한 동결심도는 표 3에서 다음과 같이 114.04cm로 계산되며, 소수점이하는 안전측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절상을 하면 115cm로 구할 수 있다.

 

 

 

 

 

 

노상동결관입허용법에 의한 동결심도는 표 4에서 r=2.0일 때 동결심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심도는 85cm로 구할 수 있다.

 

 

 

r=2.3일 경우에는 표 4에서 r=2.0일 때 z=85cm와 r=2.5일 때 z=80cm로부터 다음과 같이 보간하여 동결심도는 82 cm로 구할 수 있다.

 

 

 

 

 

 

 

 

 

참 여 진

 

 

 

건설교통부 도로국

 

도로국장 남 인 희

 

도로건설과장 정 내 삼

 

토목사무관 노 성 열

 

토목주사 이 영 우

 

 

 

연구진

 

한국도로공사 책임연구원 이 경 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황 성 도

 

 

연구진 연락처

 

한국도로공사 책임연구원

이경하 (031)371-3362 khlee@freeway.co.kr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황성도 (031)910-0180 sdhwang@kict.re.kr

 

홈페이지: http://www.pavementinfo.com

 

 

신고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